자폐 아동이 공원에서 보조견과 눈을 맞추며 교감하는 모습

자폐아동에게 보조견이 미치는 영향, 실제로 효과 있을까?

자폐 아동에게 보조견은 정말 효과가 있을까요? 총 33개 관련 논문을 분석한 최신 연구를 통해 보조견과 반려견의 차이점, 실제 체감 효과, 전문가 의견을 정리했습니다.

자폐 스펙트럼 장애(ASD)를 가진 아이들을 위해 보조견을 활용하는 사례가 점차 늘고 있는 가운데, ‘보조견이 실제로 얼마나 도움이 될까?’라는 의문에 대한 해답을 제시하는 국제 연구 결과가 발표됐습니다.

호주 멜버른대학교와 국가장애보험청(NDIA) 소속 연구진은 2025년 4월, 총 33개의 관련 논문을 종합적으로 검토한 체계적 문헌 고찰을 통해 보조견이 자폐 아동에게 미치는 영향을 분석했습니다. 연구진은 보조견이 일정 부분 긍정적인 역할을 할 수는 있지만, 일반 반려견과 비교했을 때 효과 차이는 그리 크지 않다고 결론지었습니다.

자폐 아동이 공원에서 보조견과 눈을 맞추며 교감하는 모습

■ 보조견과 반려견, 무엇이 다를까요?

보조견은 단순한 반려동물과는 달리, 자폐 아동의 일상생활에서 안전을 지키거나 정서적 안정을 도울 수 있도록 특별한 교육을 받은 개를 말합니다. 예를 들어, 도로로 갑자기 뛰어드는 위험을 막거나, 아동이 불안해할 때 옆에서 진정시켜주는 역할을 하도록 훈련받습니다.

그렇다면 이렇게 체계적으로 교육받은 보조견이 실제로 자폐 아동에게 특별한 변화를 불러올 수 있을까요?

■ 연구가 말하는 실제 효과는?

연구진이 14개의 양적 연구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보조견을 키운 아동과 일반 반려견을 키운 아동 간의 차이는 기대만큼 뚜렷하지 않았습니다.

자폐증 증상 완화, 수면의 질 향상, 사회적 상호작용 증가, 부모의 스트레스 완화 등에서 두 집단 모두 비슷한 수준의 긍정적인 결과를 보였습니다. 결론적으로 보조견이 특별히 더 뛰어난 효과를 보인다고 단정짓기는 어려운 상황입니다.

■ 부모들이 느낀 실제 변화는 어땠을까요?

숫자만으로는 담기 어려운 부모들의 경험 역시 함께 분석됐습니다. 대부분의 부모는 보조견이 아이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줬다고 느꼈습니다.

“아이의 수면 패턴이 눈에 띄게 나아졌어요”, “보조견과 함께 외출하면 마음이 한결 놓여요”, “우리 아이가 사람들과 더 편하게 어울리게 됐어요” 등 다양한 이야기가 나왔습니다. 아이가 보조견에게 정서적으로 의지하면서 안정감을 얻었고, 가족 간의 유대도 자연스럽게 깊어졌다는 평가도 많았습니다.

■ 그러나 현실적인 부담도 무시할 수 없습니다

반면 보조견을 돌보는 데 따른 부담을 호소한 경우도 적지 않았습니다. 사료나 의료비 같은 경제적인 부분부터, 매일 산책이나 꾸준한 훈련 유지까지 생각보다 많은 시간과 노력이 요구됐다는 의견이 있었습니다.

또한 일부 부모들은 학교나 식당 등 공공장소에서 보조견의 출입이 제한되는 상황을 겪기도 했습니다. 법적으로 허용된 권리가 현장에서 무시당하는 경우도 있었던 셈입니다.

“보조견이 도움이 되는 건 사실이지만, 단순히 ‘좋아 보이니까’ 들이는 건 위험할 수 있어요. 준비 없이 시작하면 오히려 가족 모두가 지칠 수 있습니다.”라는 한 부모의 말이 인상적입니다.

■ 전문가 조언: 충분한 정보와 준비가 필수입니다

연구진은 “보조견이 자폐 아동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는 가능성은 있지만, 누구에게나 효과적이라고 보기는 어렵다”며, “도입 전에 가족 전체가 충분한 정보를 갖추고, 필요한 교육을 받은 상태에서 신중하게 결정해야 한다”고 조언했습니다.

또한 보조견의 효과가 반려견이나 동물매개치료와 비교해 뚜렷하게 앞서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개별 아동의 특성과 가족의 여건에 따라 다양한 선택지를 고려해보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덧붙였습니다.

■ 결론: 보조견, 기대만큼의 효과를 얻으려면 준비와 지원이 필수입니다

보조견은 자폐 아동과 가족에게 의미 있는 존재가 될 수 있습니다. 하지만 효과를 제대로 보기 위해서는 단순한 기대감만으로는 부족합니다. 현실적인 비용과 돌봄 부담, 사회적 인식 문제 등 여러 요소를 함께 고려해야 합니다.

전문가들은 일반 반려견이나 동물매개치료(Animal Assisted Therapy) 역시 상황에 따라 더 적절한 대안이 될 수 있다고 조언합니다.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보조견이나 반려동물을 통해 자녀 혹은 가족이 어떤 변화를 경험하셨는지 댓글로 나눠주세요.

출처 논문: A mixed methods systematic review of assistance dogs for people with autism (2025)

Avatar photo
정 다인
Articles: 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