헬스장 PT 받을까 말까?…연구로 밝혀진 ‘운동 코칭’ 효과

노르웨이 연구진, 188명 대상 실험… 운동량 2배 늘었지만 단기 효과에 그쳐

헬스장 등록 후 가장 먼저 떠오르는 고민은 ‘PT를 받아야 하나’다.

혼자 운동하려니 작심삼일로 끝날 것 같고, PT(Personal Training)는 가격이 부담스럽다. 그렇다면 1:1 운동 코칭은 정말 필요할까? 최근 노르웨이 연구진이 이 궁금증을 해결해줄 실험 결과를 발표했다.

헬스장에서 트레이너와 함께 개인 PT를 받는 여성

운동 코칭, 실제로 운동량 높인다

노르웨이 스포츠과학대학은 비만 여성 188명을 대상으로 20주간 무작위로 그룹을 나눈 실험을 실시했다. 연구진은 참가자를 네 그룹으로 나눴다. △대면 코칭만 받는 그룹 △대면+온라인 병행 그룹 △온라인 중심 그룹 △아무런 코칭도 받지 않는 대조군이다.

결과는 명확했다. 코칭을 받은 그룹은 주당 평균 운동 일수가 2~2.4일로, 대조군(주 0.9일)보다 약 2배 이상 많았다. 헬스장 등록 여부와 관계없이 실제로 운동한 횟수에서 뚜렷한 차이가 나타난 것이다.

심리 변화는 크지 않았다…“천장 효과” 영향

흥미롭게도 운동 코칭이 운동 의지나 자신감 같은 심리적 변화에는 큰 영향을 주지 못했다.

연구진은 이를 ‘천장 효과’로 해석했다. 참가자들의 운동 의지가 이미 높았기 때문에, 코칭을 받아도 더 이상 향상될 여지가 적었다는 것이다. 또 코칭 내용이 일관되지 않았고, 사회적 지지 요인을 충분히 측정하지 못한 점도 영향을 미쳤을 수 있다고 분석했다.

단기 습관 형성엔 효과적…하지만 ‘지속성’은 별개

연구는 운동 코칭이 ‘운동을 시작하게 만드는 데’ 효과적이라는 사실을 보여준다. 누군가의 피드백, 정기적인 약속, 개인 맞춤 프로그램 등은 초기 행동 변화를 유도하는 데 유용하다.

그러나 코칭만으로 운동을 즐기며 일상으로 만드는 것까지는 보장하지 못한다. 처음엔 누군가의 도움으로 시작하더라도, 스스로 운동하고 싶은 마음이 생겨야 한다. 그래야 장기적인 습관으로 자리잡을 수 있다.

PT는 전략적으로 활용해야 할 방법 중 하나

이번 연구가 주는 메시지는 명확하다. 운동 코칭은 ‘돈 낭비’가 아니다. 다만 시기와 목적에 따라 전략적으로 활용해야 한다. 특히 초보자나 운동에 익숙하지 않은 사람에게는 행동 변화를 유도하는 시작점이 될 수 있다.

코칭을 통해 체중 감량, 건강 개선, 운동 루틴 형성 등 각자의 목표를 달성할 수 있도록 하고, 이후엔 스스로 운동을 지속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해야 한다. 결국 코칭은 운동 습관을 만드는 과정일 뿐이다.

운동 시작이 어렵다면, 작은 것부터 시도해보자

  • PT 대신 친구와 주 2회 헬스장 가기로 약속하기
  • 점심시간에 동료와 15분 산책하기
  • 운동 앱으로 하루 10분 홈트레이닝부터 시작
  • 웨어러블 기기로 하루 8,000보 목표 설정하기

환경도 중요하다. 집에서 5분 거리 헬스장에 등록하고, 운동복을 눈에 잘 보이는 곳에 둔다. 운동 후엔 간단히 기분을 메모해두자. ‘개운했다’, ‘스트레스가 풀렸다’ 등과 같은 긍정적 경험이 쌓이면 자연스럽게 습관이 된다.

PT는 첫 1-2개월 정도 받아서 올바른 자세를 배우고, 이후엔 스스로 운동하는 방향으로 전환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 관련 콘텐츠

출처 논문: Impact of In-Person and Mobile Exercise Coaching on Psychosocial Factors Affecting Exercise Adherence in Inactive Women With Obesity: 20-Week Randomized Controlled Trial (J Med Internet Res, 2025) 

👉 더 많은 건강 정보는 ‘Core ME’ 웹진에서 확인하세요. 📌 관련 콘텐츠

이 콘텐츠는 Core Me의 의학 전문 AI ‘닥터코어(Dr. Core)’의 검수 시스템을 거쳐 작성됐습니다.

댓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