푸른 숲속에서 조깅 중인 여성, 편두통 완화를 위한 유산소 운동을 실천하는 모습

편두통, 집에서도 가능한 복합 운동이 효과적

편두통을 줄이는 데 복합 운동이 어떤 효과를 보이는지 궁금하셨나요? 최신 연구에 따르면 유산소 운동과 근력 운동을 병행한 복합 운동이 두통 빈도 감소에 유의미한 영향을 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집에서도 실천 가능한 방법까지 소개합니다.

편두통을 자주 겪으시나요? 최근 발표된 한 연구에 따르면, 유산소 운동과 근력 운동을 함께하는 ‘복합 운동’이 편두통 완화에 효과적일 수 있다는 결과가 나왔습니다.

푸른 숲속에서 조깅 중인 여성, 편두통 완화를 위한 유산소 운동을 실천하는 모습

복합 운동이 편두통에 효과적인 이유는?

이 연구는 터키 이게대학교 병원에서 2022년부터 2024년까지 진행됐습니다. 만성 편두통을 가진 성인 24명을 대상으로 했고, 참가자들은 3개 그룹으로 나뉘어 12주 동안 각기 다른 방식의 운동을 실시했습니다.

  • 유산소 운동 그룹: 빠르게 걷기, 가벼운 조깅 등 심장 강화 운동
  • 복합 운동 그룹: 유산소 운동에 더해 밴드를 활용한 근력 운동(목, 어깨, 등 위주)
  • 대조군: 별도의 운동 없이 평소 생활 유지

모든 참가자는 운동 전후 두통 빈도를 기록했고, 운동 후 2개월 동안 변화 추이를 관찰했습니다.

실제로 두통이 줄었을까?

결과는 분명했습니다. 복합 운동을 한 그룹은 한 달 평균 편두통 발생일이 약 9.9일에서 6.3일로 감소했으며, 유산소 운동만 한 그룹도 줄어들었지만(12.4일 → 8일), 그 효과는 상대적으로 덜했습니다. 운동을 하지 않은 그룹은 큰 변화가 없었습니다.

연구팀은 “복합 운동은 약물 없이도 편두통을 완화할 수 있는 현실적인 방법 중 하나로 보인다”고 전했습니다.

운동이 정신 건강에도 영향을 줄까요?

복합 운동을 한 그룹에서는 불안 수준이 눈에 띄게 낮아진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반면, 우울 증상에 대해서는 특별한 변화가 없었습니다. 이는 참가자 대부분이 처음부터 우울감이 낮은 상태였기 때문으로 풀이됩니다.

체력 향상 효과도 확인돼

심폐 지구력을 나타내는 VO2 max 수치와 신체 활동량을 측정한 결과, 두 운동 그룹 모두에서 긍정적인 변화가 나타났습니다. 이는 운동이 단순히 두통만 줄이는 것이 아니라, 전반적인 체력 개선에도 도움이 된다는 의미입니다.

이 운동, 집에서도 가능할까요?

충분히 가능합니다. 사용된 근력 운동은 밴드를 활용한 간단한 동작들로 구성되어 있어 별도의 기구 없이도 집에서 실천할 수 있습니다. 참가자들은 영상 자료와 안내서를 참고해 스스로 운동을 수행했으며, 특별한 부작용도 없었습니다.

✍️ 대표적인 밴드 운동 3가지

리버스 플라이: 밴드를 등 뒤에서 잡고, 팔을 좌우로 벌려 날개뼈를 모으는 느낌으로 움직입니다.
숄더 슈러그: 밴드를 발로 밟은 상태에서 어깨를 으쓱 올렸다가 천천히 내립니다.
경추 후인: 턱을 당기며 머리를 뒤로 살짝 밀어내는 느낌으로, 목 뒷부분에 긴장감을 줍니다. 이 동작은 거북목 예방에도 도움이 됩니다.

연구가 알려주는 핵심 요점은?

복합 운동은 유산소 운동과 근력 운동의 장점을 동시에 활용하는 방식으로, 특히 목과 어깨 근육을 강화하는 것이 편두통 완화에 효과적일 수 있다는 점이 강조됐습니다. 운동은 우리 몸의 대사 시스템을 활성화하고, 통증을 조절하는 생체물질인 마이오카인의 분비를 유도해 두통 증상 완화에 기여할 수 있습니다.


약물만으로 부족함을 느끼셨다면, 운동이 하나의 해답이 될 수 있습니다. 지속적인 실천이 관건입니다. 복합 운동을 경험해보셨나요? 댓글로 여러분의 이야기를 나눠주세요.


본 기사는 《Headache》 저널(2025년 5월호)에 실린 “The effect of different exercise types on migraine frequency in individuals with migraine” 논문을 바탕으로 작성됐습니다.

이 글에서는 편두통 운동, 복합 운동, 집에서 할 수 있는 밴드 운동, 유산소+근력 병행 운동 등의 키워드를 중심으로 최신 연구 내용을 소개했습니다.

Avatar photo
박 건우
Articles: 1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