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려동물을 기증받아, 동물원 육식동물의 먹이로 사용하겠다고?

덴마크 알보르그 동물원이 말 기증 조건과 절차를 설명한 공식 안내 페이지 화면. 육식동물 먹이로 활용할 기증 동물의 조건을 설명함.

덴마크 알보르그 동물원이 반려동물과 소형 가축을 육식동물의 먹이로 활용하는 실험을 도입하며 논란이 일고 있다. 자연 먹이 체계인가, 윤리적 문제인가. 찬반이 엇갈리는 이 실험은 동물복지와 반려동물의 사회적 지위에 대한 논의를 촉발했다.

반려동물, 지역 이웃과의 소통 매개로 작용… 연구 결과

강아지를 산책시키며 이웃과 인사를 나누는 일본 도시 주민들 모습

반려동물과 함께하는 일상이 이웃과의 교류, 지역사회 참여, 공동체 애착 형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일본 대도시 조사 결과 나타났다. 반려동물은 사람 사이의 소통을 자연스럽게 이어주는 매개로 작용할 수 있다.

반려동물과 여행 증가세… “감성보다 ‘편의성’이 중요”

석양이 비치는 시장 거리에서 반려견과 함께 걷는 여행객

반려동물과의 여행이 늘고 있지만, 실제 결정 요인은 감성보다 실용성과 새로운 경험이라는 분석이 나왔다. 칠레 연구진은 ‘정서적 애착’보다 ‘편의성’과 ‘혜택’이 여행 선택에 더 큰 영향을 미친다고 밝혔다. 관광업계 전략 변화 시사.

결혼·아이 대신 반려동물?… 변화하는 가족의 의미

작은 반려견과 함께 식탁에 앉아 정서적 교감을 나누는 1인 가구 여성

결혼과 출산을 미루는 사회 속에서 반려동물이 가족의 자리를 채우고 있다. 자녀 없는 가정일수록 반려동물을 정서적 동반자이자 가족으로 받아들이는 경향이 뚜렷하다. 변화하는 가족 개념과 반려동물의 새로운 역할을 조명한 인구학적 분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