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드민턴 경기 중 풋워크 자세를 취하는 여성 선수, 코트 위 빠른 방향 전환을 준비하는 모습

배드민턴화, 선택도 과학… 무릎·발목 상태에 따라 다르게

배드민턴화를 고를 때도 과학적인 분석이 필요하다. 신발이 너무 딱딱하거나 부드러우면 무릎과 발목에 부담을 줄 수 있으니, 중간 강도의 신발이 관절 안정성과 운동 효율을 높인다는 연구 결과 있다. 초보자·동호인을 위한 연구 결과에 따른 선택 요령을 알아보자.

어느 공원에서든 쉽게 볼 수 있을 만큼 배드민턴은 오랜 시간 사랑받아 온 대표적인 생활 스포츠다. 실내 체육관의 확산으로 동호인들의 실력 수준도 높아졌지만, 그만큼 부상 위험도 커지고 있다.

예전에는 단순한 여가 활동으로 여겨졌지만, 이제는 많은 운동량과 체력 소비로 다이어트와 체력 향상에 효과적인 고강도 운동으로 자리 잡았다. 그만큼 발목과 무릎 등 하지 관절에 가해지는 부담도 커졌고, 이로 인한 부상을 예방하려면 장비 선택에도 세심한 주의가 필요하다.

최근 발표된 연구에 따르면, 배드민턴화가 너무 딱딱하거나 지나치게 부드러울 경우 무릎 관절에 과도한 부하를 줄 수 있으며, 중간 강도의 신발이 운동 효율과 부상 예방 측면에서 가장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배드민턴 경기 중 풋워크 자세를 취하는 여성 선수, 코트 위 빠른 방향 전환을 준비하는 모습
중간 강성 신발이 가장 안정적

중국과 뉴질랜드 국제 공동 연구진은 Journal of Sports Science and Medicine에 발표한 논문에서 배드민턴 신발의 비틀림 강성이 하지 관절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했다. 연구에는 15명의 남성 선수가 참여해 신발을 착용한 채 대표적인 배드민턴 동작을 수행했고, 이 과정에서 다리 관절의 움직임(생체역학 반응)을 측정했다.

그 결과, 중간 강성(60D) 신발은 무릎의 바깥쪽으로 벌어지는 각도(외반각)를 줄이고, 관절의 좌우 흔들림을 억제하는 데 가장 효과적이었다. 반면, 높은 강성(70D) 신발은 착지 시 발목 굽힘은 증가했으나, 발 안쪽으로 꺾이는 움직임(inversion)은 줄어 발목 안정성은 높였지만, 무릎에는 오히려 부담을 주는 양상을 보였다.

전문가 “유연성과 안정성, 균형이 핵심”

논문 공동 저자인 메이 박사는 “배드민턴은 급격한 방향 전환과 점프가 많은 스포츠이기 때문에, 신발이 너무 유연하거나 뻣뻣하면 오히려 관절에 무리를 줄 수 있다”며 “유연성과 안정성 사이의 균형을 갖춘 중간 강도의 신발이 최적의 선택이 될 수 있다”고 설명했다.

경기력과 부상 예방, 강성 조절이 관건

연구진은 관절 움직임뿐 아니라 착지 시 충격을 나타내는 지면반발력, 관절의 가동 범위, 지면에 발을 딛고 있는 시간 등도 함께 분석했다. 강성이 높을수록 착지 시 지면반발력이 증가하고 지면 접촉 시간은 짧아져 반응 속도는 빨라졌지만, 관절에 가해지는 충격도 함께 커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번 연구는 15명의 젊은 남성 선수를 대상으로 진행돼 결과를 모든 연령대나 성별, 운동 경험 수준에 곧바로 일반화하긴 어렵다. 하지만 착지나 방향 전환 등 기본적인 움직임에 대한 생체역학 분석이라는 점에서 일반 동호인에게도 일정 부분 참고가 될 수 있다. 향후 더 다양한 집단을 대상으로 한 추가 연구가 이루어진다면 적용 범위는 한층 확대될 것으로 기대된다.

배드민턴화 고를 때 이렇게 하세요
  • 신발을 손으로 비틀었을 때 적당한 저항감이 있는지 확인한다.
  • 지나치게 부드러우면 발목을 지지하지 못하고, 너무 딱딱하면 무릎에 부담을 줄 수 있다.
  • 점프나 방향 전환 등 움직임이 많은 사람은 중간 정도 강도의 제품이 적합하다.
  • 발목이 불안정한 경우 높은 강성도 고려할 수 있으나, 무릎 부담에는 주의가 필요하다.
  • 자신의 운동 스타일과 부상 이력을 기준으로 신발을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 초보자라면 무릎이나 발목에 특별한 이상이 없는 한, 유연성과 안정성이 균형을 이루는 중간 강도의 신발을 선택하는 것이 무난하다.

📌 관련 콘텐츠

에디터의 말 “다른 운동에도 적용할 수 있을 듯”

이 같은 원리는 배드민턴에만 해당하지 않을 것이다. 급정지, 점프, 방향 전환이 반복되는 농구, 탁구, 배구 등 코트 스포츠에서도 유사한 생체역학적 영향을 줄 수 있어, 신발 선택 시 비틀림 강성은 중요한 고려 요소가 될 수 있다.

출처 논문 : “Influence of Torsional Stiffness in Badminton Footwear on Lower Limb Biomechanics”, Journal of Sports Science and Medicine (2024)

이 콘텐츠는 Core Me의 의학 전문 AI ‘닥터코어(Dr. Core)’의 검수 시스템을 거쳐 작성됐습니다.

Avatar photo
박건우 에디터
기사 : 1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