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esentation-anxiety-young-man-speech-nervous-1

유튜브 영상 한 편이 발표 불안을 낮춘다고요? 실험 결과 보니…

청소년 발표 불안을 줄이기 위한 디지털 호흡 훈련이 실제로 효과가 있을까요? 12분간의 영상 개입으로 불안을 완화한 연구 결과가 공개됐습니다. 심호흡 훈련의 효과와 과학적 근거를 지금 확인하세요.

청소년의 사회적 불안을 줄이기 위한 실험 결과 공개

“발표 전에 깊게 숨을 쉬는 것만으로도 마음이 편해진다면 믿으시겠어요?” 최근 한 연구에서 그 해답을 찾았습니다. 단 12분간의 ‘느린 호흡’ 영상 시청만으로도 청소년들이 발표 상황에서 느끼는 불안과 긴장을 줄일 수 있다는 흥미로운 결과가 나왔습니다.

이번 연구는 네덜란드 라이덴대학교(Leiden University)에서 진행됐으며, 18세에서 24세 사이의 청소년 120명이 참여했습니다. 이들은 모두 실제 발표 상황을 모의한 환경에 놓이고, 다양한 디지털 개입 영상을 체험한 뒤 스트레스 반응을 측정했습니다.

디지털 개입 실험은 어떻게 이루어졌을까?

참가자들은 발표 불안을 유도하는 안내를 받은 후, 아래 네 가지 중 하나의 짧은 영상을 시청했습니다.

  1. 느린 호흡 훈련(Slow Breathing): 천천히, 깊게 숨 쉬는 복식호흡 안내 영상
  2. 거리두기 명상(Detached Mindfulness): 부정적인 생각을 흘려보내는 인지 훈련
  3. 주의 전환 훈련(Attention Training): 소리에 주의를 집중했다가 전환하는 연습
  4. 통제 그룹: 동물 ‘기린(Giraffe)’에 대한 위키백과 낭독 영상 (중립적 콘텐츠)

이후 참가자들은 실제 발표를 하게 되었고, 이 과정에서 불안 정도, 심박수 변화(HRV), 발표 수행 능력 등이 평가됐습니다.

가장 눈에 띄는 효과는 ‘느린 호흡’에서

실험 결과, ‘느린 호흡’을 한 참가자 그룹에서 뚜렷한 긍정적인 변화가 확인됐습니다.

✅ 발표 직후 불안 수준이 유의미하게 감소했고
✅ 심박수 변동성(HRV) 수치도 안정적으로 상승했습니다.

HRV는 자율신경계의 회복 탄력성을 보여주는 지표로, 수치가 높을수록 감정 조절 능력이 뛰어나다고 평가됩니다.

연구팀은 “짧은 영상 한 편이 실제 상황에서의 긴장 완화에 도움을 줄 수 있다는 것은, 특히 청소년을 위한 접근 가능한 심리적 지원 수단으로서 큰 의미가 있다”라고 전했습니다.

실험 유형별 효과 요약 표
개입 방법불안 감소HRV 상승발표 실력 향상
느린 호흡✅ 있음✅ 있음❌ 없음
거리두기 명상❌ 없음⚠️ 약간 있음❌ 없음
주의 훈련❌ 없음❌ 없음❌ 없음
통제 그룹❌ 없음❌ 없음❌ 없음

다른 개입 방법은 왜 효과가 적었을까?

거리두기 명상은 내용이 어렵거나 추상적이라는 피드백이 많았고, 주의 훈련은 영상 몰입도가 떨어졌다는 반응이 있었습니다. 또한 이 실험에 참가한 대부분이 건강한 일반 청년이었기 때문에, 개입 효과가 덜 나타날 수 있습니다.

발표 실력에는 큰 변화 없었다

실험 참가자들의 실제 발표 수행 능력은 그룹 간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습니다. 하지만, 사회불안 수준이 높은 이들은 자신을 더 낮게 평가하는 경향을 보였습니다. 이는 실력보다 심리적 인식이 발표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시사합니다.

전문가가 보는 가능성: “앱으로도 충분히 도움 줄 수 있어”

짧고 구조화된 훈련 영상은 앱이나 유튜브 등 디지털 플랫폼을 통해 쉽게 접근 가능하다는 점에서 큰 장점이 있습니다. 연구진은 느린 호흡 훈련처럼 간단한 개입만으로도 청소년들의 발표 스트레스를 줄일 수 있다고 보고 있습니다.

“한 번의 짧은 영상으로도 마음이 가라앉는다면, 이는 많은 이들에게 필요한 심리적 도구가 될 수 있습니다”

앞으로 어떤 연구가 필요할까?

이번 실험은 개념 검증 성격으로, 다음과 같은 확장 연구가 필요합니다.

  • 문화권별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국제 실험
  • 반복적 훈련을 통한 장기 효과 측정
  • 실제 앱 서비스화 과정에서 사용자 경험(UX) 분석

여러분은 발표 전에 어떤 생각이 드시나요?
불안을 줄이기 위해 어떤 방법을 써보셨는지 댓글로 자유롭게 이야기 나눠주세요!


출처 논문:
A proof of concept study on digital interventions for reducing socio-evaluative stress and anxiety in youth (2025)

Avatar photo
김도연 부편집장
기사 : 5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