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공유 링크 만들기
- X
- 이메일
- 기타 앱
ADHD 청소년, 달리기로 우울·불안 개선 입증
“그날, 아이는 처음으로 웃으며 달렸습니다” ADHD로 인해 늘 불안하고 움츠러들던 한 청소년이 12주간 달리기 수업을 경험한 후, 달라졌습니다. 이 변화는 단지 느낌이 아닌 과학적으로도 입증된 사실이었습니다. 그렇다면 어떤 활동이 이런 변화를 이끌었을까요?
ADHD 청소년에게 도움 되는 운동, 달리기 프로그램의 효과
홍콩 중문대학교(The Chinese University of Hong Kong)와 칭화대학교(Tsinghua University)의 공동 연구진은 ADHD 진단을 받은 청소년 80명을 대상으로 12주간 유산소 운동 프로그램을 시행했습니다.
프로그램은 일주일에 한 번, 1시간씩 진행됐으며, 단순한 체육 활동을 넘어 아이들이 즐길 수 있도록 설계된 달리기 중심의 놀이형 운동이었습니다.
초반 6주는 학교 운동장에서 간단한 게임과 신체활동으로 구성됐고, 후반 6주는 지역 거리에서 달리기를 하며 선물을 전달하는 봉사 활동도 함께 이루어졌습니다.
운동 후 나타난 긍정적 변화: 우울, 불안, 스트레스 감소
연구에 따르면 운동에 참여한 그룹은 우울감, 불안, 스트레스가 눈에 띄게 줄어들었고, 그 효과는 운동이 끝난 후 3개월 뒤까지도 지속되었습니다. 특히 뇌의 반응 속도와 정확도도 함께 향상되어 집중력 향상으로 이어졌습니다.
"정기적인 유산소 운동이 ADHD 청소년의 정서적 불안정과 인지 기능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 연구 책임자 싯 후이핑 박사(Cindy Hui‑ping Sit)
한계도 존재: 공격성에는 유의미한 변화 없어
모든 영역에서 효과가 나타난 것은 아니었습니다. 특히 공격적인 행동은 운동 전후에 큰 변화가 없었고, 회복탄력성(Resilience)의 경우 운동 직후엔 좋아졌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다시 원래 상태로 돌아갔습니다.
연구팀은 회복탄력성의 지속 여부는 주변 환경과 사회적 지원의 유무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왜 효과가 있었을까? 핵심은 '즐거움과 관계 형성'
이번 프로그램은 단순히 몸을 움직이는 데에 초점을 두지 않았습니다. 청소년들이 스스로 즐기며 참여할 수 있는 분위기를 조성한 것이 특징이었습니다.
- 게임과 활동을 통한 자연스러운 참여 유도
- 가족 및 친구와 함께하는 운동 환경
- 지역사회와 연결된 봉사 활동
- 자연 속 공간 활용으로 스트레스 해소
- 단계적으로 높아지는 운동 강도로 성취감 부여
이처럼 운동을 통해 자존감, 관계 형성, 정서 안정이 자연스럽게 함께 향상됐다는 점이 주목할 만합니다.
전문가 조언: ADHD 청소년에게 운동은 '약'이 될 수 있다
"유산소 운동은 뇌의 신경전달물질을 활성화해 기분 조절과 스트레스 감소에 도움을 줍니다. ADHD 청소년에게는 효과적인 비약물적 대안이 될 수 있습니다." – 대한신경정신의학회 자료 및 하버드 의과 대학 건강 보고서 참고
ADHD 청소년에게 맞는 운동 습관은?
연구진은 운동의 빈도와 방식도 중요하다고 강조했습니다. 주 1회의 운동보다는, 짧은 시간이라도 주기적으로 자주 운동하는 것이 더 효과적일 수 있다는 설명입니다. 또한, 아이의 흥미와 능력에 맞는 방식으로 설계된 운동일수록 참여도와 효과가 높아진다고 덧붙였습니다.
마무리: 몸을 움직이면 마음도 함께 바뀝니다
이번 연구는 운동이 ADHD 청소년의 정서적 안정과 인지 기능 개선에 실질적인 효과가 있음을 확인시켜 주었습니다. 가끔은 약보다 나은 해답이 '같이 뛰는 시간'일 수 있습니다. 집 앞 공원 한 바퀴 달리기부터 시작해 보는 건 어떨까요?
💬 여러분의 생각은 어떠신가요?
혹시 운동으로 아이의 변화된 모습을 경험해 보셨나요? 댓글로 이야기를 나눠주세요. 작은 실천이 아이의 큰 변화를 만들 수 있습니다.
출처 논문: The effects of physical activity on mental health in adolescents with attention-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2025)"콘텐츠가 마음에 드셨다면 커피 한 잔 값이라도 후원해 주시면 더 좋은 콘텐츠를 만드는 데 큰 힘이 됩니다. 감사합니다!"
📌 후원계좌 : 카카오뱅크 3333-03-6432329 (예금주: 김종일)
본 콘텐츠의 무단 복제 및 재배포를 금합니다.
댓글
댓글 쓰기